6·2 지방선거에서 풀뿌리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시민단체들의 연대 움직임이 전국 곳곳에서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지역에서도 지난 2월 24일 대구 시민센터 강당에서 출범식을 가진 ‘풀뿌리 대구 시민연대’가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식 활동을 시작했다. ‘풀뿌리 대구 시민연대’는 김민남(경북대학교 명예교수), 김사열(경북대학교 미생물학과 교수), 김영화(대구참여연대 공동대표) 등 9명이 공동대표를 맡았고 기획집행위원회에는 김동렬(대구 시민단체 연대회의 운영위원장)씨를 비롯한 6명이 활약하며 100명 이상의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했다. 그 중 6·2 지방선거와 관련한 연대 활동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풀뿌리 대구 시민연대’ 김동렬 기획집행위원장을 만났다. 김 위원장은 대구지역 27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대구 시민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 대구KYC 대표를 맡고 있으며, 기초 의회에 풀뿌리 시민후보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풀뿌리 대구 시민연대 기획집행위원장, 시민사회와 야6당이 참여하는 6·2 지방선거 정책연대 실무회의 간사 업무를 맡고 있는 시민운동 활동가이다.
대구는 변화가 필요해
“풀뿌리 민주주의를 구현한다는 지방자치가 실시된 지 20년이 지났지만 지방자치, 풀뿌리 민주주의는 역사 이래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다”는 김 위원장.
그는 중앙정치에 그 원인이 있다고 꼬집어 말한다. 중앙정치가 주민이 자치할 수 있도록 풀뿌리에 권한을 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중앙정치에 ‘예속’ 시켜버렸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김 위원장은 “여야 거대 정당들은 정당공천제로 지방정치를 줄 세우고, 기초의회 4인 선거구제의 정략적 분할 및 소선구제 회귀 등을 통해 지역패권의 욕망을 숨김없이 드러내고 있으며 특정 정당의 지속적인 독점으로 견제와 균형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중앙정치의 예속과 독점에 제동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김 위원장은 “그 제동은 기초가 되어야 한다. 풀뿌리는 다양성이 생명이다. 생명력 있는 의회가 될 수 있도록 풀뿌리 대구연대가 좋은 후보를 발굴하고 진출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포부를 밝힌다.
결과가 뻔한 선거가 아니라 해 볼 만 한 선거가 되도록 시민사회의 지혜를 모으겠다는 김 위원장은 “대구는 기초 의원부터 시장까지 특정 정당이 독식하여 왔지만, 발전보다는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는 자성과 탄식의 소리가 있다. 대구의 경제와 실업률은 최하위, 게다가 힘들게 쟁취한 첨복 단지와 혁신도시도 세종시 특혜로 한 방에 날아가 버릴 상황에 놓여 있다”며 “대구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김 위원장은 그 변화의 출발은 기초라고 말한다. 기초 의회는 중앙집권적 권력정치의 바람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진정한 생활 자치를 실현하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바탕이다.
김 위원장은 “기초의회에 양심적이고 미래지향적이며 능력 있는 풀뿌리 일꾼들이 진출하도록 힘을 모아 보자”고 당부한다.
‘엣지 있는’ 유권자가 되자
김위원장은 “풀뿌리 후보가 몇 명이 될지 아직 알 수는 없지만 풀뿌리 후보를 통해 지방자치, 풀뿌리 민주주의 중요성을 각인시키는 계기로 삼겠다”며 “풀뿌리 후보가 주목받을 수 있도록 차별화된 전략, 주민 생활 정치의 정책과 공약을 제시하겠다”고 말한다.
“기초는 중앙 정치의 영역이 아니라 주민 자치의 영역”이라며 “그동안 시민운동이 견제와 감시 비판을 잘 해온 만큼 ‘풀뿌리 대구 시민연대’가 시민 후보를 발굴 육성 진출시켜 행정에 대한 견제와 감시 비판을 잘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힌다.
“대구시민들이 이제 ‘변화’를 선택했으면 좋겠다. 아니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본다. 시민운동도 욕심 내지 않고 기초에 좋은 후보 만들어 진출시키겠다. 역대 어느 선거보다 가장 많은 후보를 뽑아야 하는 선거이다. 묻지마 투표보다는 요즘 유행하는 말로 ‘엣지 있는’ 유권자가 되어 주길 바란다.”
김 위원장은 당부한다.
정치에 대한 시민교육 필요
묻지마 투표, 특정 정당만 투표하는 유권자 투표 행태에 대해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김 위원장은 “지역주의 투표는 맹목적 투표라고 밖에 볼 수 없다”며 “투표 행태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제도의 문제로 유권자의 이런 투표 행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선 선거 제도를 변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일상적으로 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김 위원장은 “선거는 제도화되어 있지만 정치에 대한 시민교육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선관위와 시민운동이 협력해 선거 시기가 아닌 해는 시민교육을 지속적으로 펼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민초들이 동네의 주인이 되고, 세상의 주인이 되는 것이 풀뿌리 민주주의다. 이 뜻을 실현하려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것이 지역에서 희망을 찾는 ‘풀뿌리 대구 시민연대’”라고 강조하는 김 위원장은 “‘풀뿌리 대구 시민연대’는 기초의회에 진출한 후보들이 진정으로 주민의 입장에서 집행부를 감시 비판하고, 생활정치 대안을 제시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연대할 것이며 이를 통해 기초의회라는 풀뿌리에서 싹이 자라 튼튼한 나무가 되고 그것이 커다란 희망의 숲을 만들어 대구를 가득 채우기를 희망한다”고 말한다.
이경희 리포터 hkjy6838@hanmail.net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