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강남에 사는 이유 - 교육]서울대 진학, 서울고교 가운데 강남 출신 41%
교육여건만큼 아이들 커뮤니티 형성에도 신경 써
최근 급등하는 전세 값에도 불구하고 자녀를 좋은 대학에 보내려면 적어도 ‘대전동’(대치동 전세의 의미)에는 살아야 한다고 한다. 또 새롭게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로 인해 ‘귀신이나 뚫을 저승의 스펙’도 바로 강남 엄마가 뚫는다고도 한다.
초· 중· 고등학생을 둔 부모라면 누구나 살고 싶어 하는 명실상부 ‘교육1번지’ 강남. ‘맹모삼천지교’라는 말처럼 자녀교육에 온 힘을 기울이고 있는 부모에게 ‘보다 나은 교육환경’은 거주 목적의 첫 번째 이유가 될 수밖에 없다. 특히 고학력 전문직에 경제적 여유까지 갖춘 부모들이 포진해 있어 아이들이 자라면서 형성되는 ‘커뮤니티’는 교육만큼이나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내 아이 교육’과 ‘커뮤니티’가 바로 우리가 강남에 사는 이유이다.
서울대 진학 서울고교 가운데 강남출신 41%
시대가 변함에 따라 우리가 사용하는 말도 변하고 있다. 사실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은 이미 옛말이 된 듯하다. 지난 3일 발표된 한 입시전문학원의 2010년 서울대 합격자 고교 유형별 분석에 따르면 서울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가운데 강남 서초 송파 등 이른바 강남권 출신 학생의 서울대 진학률이 41%에 육박했다.
올해 서울대에 진학한 서울지역 일반고 출신 학생은 총 713명이며 이중 292명이 강남권 출신인 것이다. ‘대한민국 교육특구’답게 강남 3구 출신의 서울대 합격자 비율은 고3 학생 수를 고려해 봐도 서울시내 전체와 비교해 두 배 가까이 높은 수치다. 이처럼 서울지역 강남권과 이외지역에서 벌어지는 진학률 차이의 첫 번째 원인은 강남권에 학교 수가 많다는 점이다.
금천구 4개교, 성동구 5개교, 강남구 17개교, 서초구 10개교, 송파구 14개교 등으로 타 구에 비해 많은 학교가 강남권에 위치해 있다. 두 번째 원인은 바로 강남지역의 높은 교육열에 있다. 이러한 교육열은 통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동아일보와 통계청이 발표한 2001년부터 2007년 강남구 전·출입자를 컴퓨터활용보도(CAR)와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순수 인구 증가율은 4세부터 시작돼 초등학교 5학년인 11세에 절정을 이룬다. 그러다 고등학교 3학년인 18세부터는 마이너스로 돌아서 대학에 진학하면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더 높아진다.
아이들 교육 여건이 우선순위
서초구 잠원동에 사는 주부 김 모(40)씨는 높은 물가에 비싼 교육비를 생각하면 평범한 샐러리맨인 남편과 전업주부인 자신이 살기에는 강남이 벅차다는 생각을 한 적도 있다. 하지만 김 모씨는 “분위기가 중요한 것 같아요. 주위 아이들 모두 열심히 공부하니까 내 아이도 열심히 하는 것이 당연하고 또 주변을 둘러보면 아이한테 필요한 학원도 많고요”라고 말했다.
안양시 평촌에서 살던 주부 박 모(38)씨는 지난 주 서초구 반포동으로 이사를 왔다. 오는 3월 큰 아이가 초등학교에 진학하기 때문이다. 마음 같아서는 유치원부터 강남권에서 보내고 싶었지만 강남지역과 평촌의 영어유치원 원비차이가 커서 평촌에서 영어유치원을 모두 마치고 난후 본격적으로 좋다는 영수학원이 많이 모여 있는 이곳에서 초등학교부터 보내기로 한 것이다. 박 모씨는 “평촌에 내 집 놔두고 아파트도 아닌 빌라로 이사 와서 이모저모 불편한 점이 많지만, 학원이나 교육인프라가 좋아 이사를 결심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강남권 교육인프라의 영향으로 인해 강남지역 초등학교는 1학년과 6학년의 학급수가 적게는 2배에서 많게는 3배까지 차이가 난다. 강남구 대치동 대치초등학교의 경우, 1학년은 5개 학급이지만 6학년은 11개 학급이며 개포동 구룡초등학교는 1학년은 4개 학급이지만 6학년은 8개 학급으로 배 이상 불어난 수치를 보인다.
교육여건만큼 중요한 아이들 커뮤니티
강남구 압구정동에 사는 주부 이 모(44)씨는 강남에 사는 이유로 좋은 학원이나 교육여건만큼 아이에게 평생 함께 할 ‘친구 커뮤니티’를 만들어 주는 것을 꼽았다.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혼자만 잘나서는 결코 살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의 좋은 인맥들을 엮어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 여긴다고.
이 모씨는 “어렸을 때부터 허물없이 지낸 친구들이 커서 함께 잘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다”며 “그렇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상향평준화 되어있는 강남지역을 떠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초구 반포동에 사는 주부 김 모(36)씨는 남편 유학시절 아이들을 미국에서 낳았다. 그리고 한국에 돌아와 아이들이 다니는 유치원에서 미국유학을 준비하는 모임에 들었다. 그는 “딸아이가 다니는 유치원 아이들 가운데 사분의 일 정도가 미국 시민권자이며 앞으로 미국 유학을 계획 중인 부모도 많다”며 “나 역시 아이들 미국 유학을 고려중이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나누는 이런 모임 역시 강남지역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 같다”고 말했다.
강남구 모 초등학교에 근무 중인 여교사 한 모(44)씨는 “담임을 맡고 있는 20명가량의 반 아이들 부모님 직업 중에 의사가 10여 명, 일류대 교수가 3명, 법조인이 6명에 달한다”며 “뜻이 맞는 부모님들이 나서서 아이들의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박수진 리포터 icoco19@paran.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