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광주시, 경기도 안산시 등이 돔구장 건설계획을 잇따라 발표하자 찬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찬성 측은 생산유발 효과와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 반면, 반대 측은 민간 사업자에게 과도한 특혜라고 주장한다. 또한 막대한 운영비 부담 등을 지적하고 있다. 특히 돔구장 건설이 내년 지방선거와 맞물려 ‘정치 쟁점’으로 부각될 가능성도 높다.
◆신도시 개발 등 장밋빛 구상 발표 = 현재 돔구장을 추진하거나 계획 중인 곳은 서울, 경기 안산, 대구, 광주 등 4곳. 이중 서울 구로구 고척동 돔구장이 빠른 진척을 보이고 있다. 안산시는 지난 9월 단원구 초지동 일원 20만㎡에 3만2000석 규모의 돔구장과 공공청사, 50층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 9개동 등을 한꺼번에 개발하기 위해 민간사업자를 공모했다. 모두 1조2737억원(돔구장건설 4200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에는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 등 6개 업체가 응모했고, 사업자는 오는 12월 결정된다.
대구시와 광주시도 지난달 29일 포스코건설과 돔구장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각각 체결했다. MOU체결에 따라 대구시는 수성구 대흥동 대구스타디움 인근에, 광주시는 외곽 그린벨트지역에 3만석 규모의 돔구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포스코건설은 모두 8000억원을 투입해 돔구장을 건설한 다음 해당 지자체에 기부 채납한다. 반면 대구시와 광주시는 포스코건설에게 부지를 저가로 제공하고 돔구장과 신도시 개발권을 주게 된다. 포스코건설은 오는 12월까지 구체적 사업계획서를 대구시와 광주시에 각각 제출한다. 정하진 대구시 체육진흥과장은 “대구시는 지난 2007년부터 돔구장 건설을 위한 연구용역과 시민여론조사 등을 착실히 진행해 왔다”고 추진과정을 설명했다.
◆안산시 주민투표 발의운동 시작 = 대규모 개발사업과 함께 추진되는 돔구장 건설 계획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각 지역마다 찬반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 안산지역 시민단체들은 최근 ‘돔구장반대 주민투표 발의 운동본부’를 결성, 시의회 통과 과정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운동본부는 안산시가 도시공사를 통해 시유지 15000㎡를 출자하는 내용의 ‘공유재산관리계획’을 불법으로 통과시켰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돔구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광주시도 찬반으로 시끄럽다. 반대 측은 광주시가 돔구장 건설을 추진하면서 아무런 공론화 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해마다 100억원 이상이 들어가는 운영비 때문에 만성적인 적자운영이 불가피 하다며 돔구장 건설에 반대하고 있다.
김재석 광주경실련 사무처장은 “6개 돔구장이 있는 일본도 운영비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다”며 “4000억원을 투입하는 포스코건설에게 막대한 특혜를 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반해 광주시는 문화와 스포츠, 관광 등이 어우러진 복합기능의 돔구장을 건설해 도시 기반시설과 연계하면 생산유발 효과가 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민간사업자가 공사비와 운영비 등을 부담하기 때문에 광주시 재정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맞서고 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연말에 포스코가 돔구장 건설에 대한 의향서를 제출해오면 시민과 각급 단체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최종결정을 내리겠다”고 설명했다.
광주 방국진·대구 최세호
안산 곽태영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신도시 개발 등 장밋빛 구상 발표 = 현재 돔구장을 추진하거나 계획 중인 곳은 서울, 경기 안산, 대구, 광주 등 4곳. 이중 서울 구로구 고척동 돔구장이 빠른 진척을 보이고 있다. 안산시는 지난 9월 단원구 초지동 일원 20만㎡에 3만2000석 규모의 돔구장과 공공청사, 50층 규모의 주상복합아파트 9개동 등을 한꺼번에 개발하기 위해 민간사업자를 공모했다. 모두 1조2737억원(돔구장건설 4200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에는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 등 6개 업체가 응모했고, 사업자는 오는 12월 결정된다.
대구시와 광주시도 지난달 29일 포스코건설과 돔구장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각각 체결했다. MOU체결에 따라 대구시는 수성구 대흥동 대구스타디움 인근에, 광주시는 외곽 그린벨트지역에 3만석 규모의 돔구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포스코건설은 모두 8000억원을 투입해 돔구장을 건설한 다음 해당 지자체에 기부 채납한다. 반면 대구시와 광주시는 포스코건설에게 부지를 저가로 제공하고 돔구장과 신도시 개발권을 주게 된다. 포스코건설은 오는 12월까지 구체적 사업계획서를 대구시와 광주시에 각각 제출한다. 정하진 대구시 체육진흥과장은 “대구시는 지난 2007년부터 돔구장 건설을 위한 연구용역과 시민여론조사 등을 착실히 진행해 왔다”고 추진과정을 설명했다.
◆안산시 주민투표 발의운동 시작 = 대규모 개발사업과 함께 추진되는 돔구장 건설 계획이 잇따라 발표되면서 각 지역마다 찬반논란이 뜨거워지고 있다. 안산지역 시민단체들은 최근 ‘돔구장반대 주민투표 발의 운동본부’를 결성, 시의회 통과 과정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 운동본부는 안산시가 도시공사를 통해 시유지 15000㎡를 출자하는 내용의 ‘공유재산관리계획’을 불법으로 통과시켰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돔구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광주시도 찬반으로 시끄럽다. 반대 측은 광주시가 돔구장 건설을 추진하면서 아무런 공론화 과정 없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였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해마다 100억원 이상이 들어가는 운영비 때문에 만성적인 적자운영이 불가피 하다며 돔구장 건설에 반대하고 있다.
김재석 광주경실련 사무처장은 “6개 돔구장이 있는 일본도 운영비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다”며 “4000억원을 투입하는 포스코건설에게 막대한 특혜를 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반해 광주시는 문화와 스포츠, 관광 등이 어우러진 복합기능의 돔구장을 건설해 도시 기반시설과 연계하면 생산유발 효과가 클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민간사업자가 공사비와 운영비 등을 부담하기 때문에 광주시 재정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맞서고 있다. 박광태 광주시장은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연말에 포스코가 돔구장 건설에 대한 의향서를 제출해오면 시민과 각급 단체 등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최종결정을 내리겠다”고 설명했다.
광주 방국진·대구 최세호
안산 곽태영 기자 kjb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