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도 순위라는 순서가 존재한다.
순위 1번인 인성교육을 무시한 채 점수 올리기에 연연한 결과는 외국명문 대학에서 과반이 중도 탈락 또는 OECD회원국 중하위권 맴 돌다 등의 결과를 가져오게 했다.
오랜 세월 폭넓은 교육연구와 현장지도를 통해 얻어낸 결론 역시 ‘인성교육이 먼저, 그리고 교육의 시작이었다.’
사람이 먼저 되고나야 그림도 공부도 잘한다는 것은 만고의 진리였다.
인성 창의성교육은 6-9세 전후가 최적의 시기이다.
창업의 대부라고 부르는 루터 번스타인도 어릴 때 지식의 출발점이 되는 만능지식인 척척박사 만물박사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고 했다.
지식이 있어야 사리판단력이 생겨 인성 창의성이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실 창의성은 책 몇 권 읽었다, 토론학습 벌인다고 창의성이 길러지는 것은 아니다. PC로 말하자면 하드에 정보가 많이 저장되어 있어야 PC구실을 할 수 있다.
또, 모인 토론자 모두가 선행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창의적인 토론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인성 창의성은 책을 통해 얻어지는 지식보다 자연순응의 법칙을 이해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고 쉽게 터득되는 지식이다.
결국 ‘가문이 좋다, 부모가 교육을 많이 받았다, 예절을 갖추었다, 때문에 인성이 좋다’ 로 결론지을 수 없다.
인성은 옳고 그름을 따질 수 있는 과학적 지식이 전제 된 과거적 지식과 현재의 지식 사례가 결합된 논리적 비판력을 갖춘 지식이다.
‘숙’이는 왜 공부를 잘해야 하지.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입니다. 그럼 훌륭한 사람은 어떤 사람인데... 자신을 이렇게 만들어준 부모와 모두에게 귀감이 될 수 있을 때 훌륭한 사람이 되었다고 말 할 수 있다
‘중앙일보(2008.12.1, 5.18일 자)특파원이 보낸 ‘미국서 고전하는 한인 학생’ 이라는 기사에서
‘왜 한국학생들은 Why, How를 할 줄 모르느냐’
‘학회창립 30주년! 창의성교육은 한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습니다’ 라는 학회장의 회고도 한국 창의성교육의 현주소임에는 틀림없다.
인성 창의성은 바늘과 실처럼 따라다니는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이 지식은 현재의 지식만이 아닌, 과거의 지식과 현재의 지식이 결합되어 질 때 또 다른 새로운 지식을 생성시켜주는 데 우리의 지식은 출발부터 점수 따기 점수 올리기에 매달려 단편적인 지식 쌓기에만 급급해 이런 결과를 낳았다.
필자가 조사한 바로는 초등생을 비롯해 대학 대학원생에 이르기까지 주제에 대한 단편적인 답은 잘 하는 편이나, 지식의 출발점이 되는 과거적인 Why, How에 대한 물음에는 말문을 닫아 버린다.
하나의 명사적 지식에는 우주 천문 지학 생물 물리 화학 해양 역사 예술 문학 등과 관련된 지식이 씨줄과 날줄처럼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다.
이 복잡한 지식을 과거적 지식이라 부를 때 과거적 지식을 경험하지 않았기 때문에 Why, How 라는 질문에 말문을 닫아버린 것이다.
15세기 비행기를 설계했든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눈에 보이는 비행기보다 눈에 보이지 않은 공기역학 등의 지식이 있었기 때문에 비행기를 설계 할 수 있었다.
‘바퀴 벌레 그리기는 싫어요’ 라는 아이가 있다면 바퀴벌레에 대한 과거의 지식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에 징그럽다, 더럽다 등으로 만 이해되어 있기 때문이다.
영화 ‘빠삐용’에서 주인공이 바퀴를 잡아 입에 넣는 장면이 보인다. 바퀴벌레를 이해하고 있다면 대수롭지 않게 받아들일 수 있다.
바퀴벌레는 왜 생겨났을까. 다른 별에도 있을까. 더듬이는 왜 가늘고 길까. 왜 가볍고, 납작 하지 등등 과거적인 지식까지 이해하게 될 때 발전적인 다른 생각도 떠오르게 된다.
눈에 보이는 내용보다 숨겨진 과거적인 지식을 경험시키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OECD교육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이 왜 만년 중하위권일까.
주입식 교육 때문이 아니라 폭 넓은 지성을 지닌 교사의 부재가 주범이다.
무엇이든 척척 외우는 창의성교육을 받을 최적의 황금기에 지식의 만능인 만들기 과정은 생략한 채 영어교육 몰입, 단편적인 지식 요점정리 점수화교육이 지속되어질 때 Why, How부재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국내 우수 고를 우수성적으로 졸업 미 명문대에서 성적불량(에세이)으로 퇴교를 하고 있다는 보도 강 건너 불구경 보듯 할 때가 아니다.
점수 빨리빨리 올리기는 이제 그만, 인성 창의성교육이 먼저라는 사고전환이 이루어 질 때만이 세계에서 1등하는 아이, 진정으로 공부 잘하고 인성이 높은 아이로 만들 수 있다.
김봉권 원장
한국기초형교육연구회 02-3487-2505.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