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사람들은 학교를 떠나는 순간 수학을 그만두고 싶어 한다. 그리고 가끔은 ‘이 어려운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 써먹지?’라는 불평도 쏟아낸다. 하지만 수학은 ‘객관적 지식’의 모습으로 항상 우리 생활에 존재한다. 타이핑을 치고 있는 컴퓨터 자판과 모니터에도 수학이 있고, 이젠 일상이 되어버린 핸드폰도 수학이 없다면 존재할 수 없는 물건이다.
그러나 수학의 가치가 단순히 기술의 바탕으로만 이야기하면 아직도 뭔가 부족한 느낌이다. 수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여러 학문의 기초가 된다는 학문적 지위로 설명되는 그렇게 ‘으리으리한’ 수학만이 아니다. 사실은 더 가까운 생활 속에 수학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합리적인 판단을 위한 수학적 사고 과정이 보다 정확한 세계의 인식이나 행동을 결정하는데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의식하지 않는 동안에도 수학적 사고를 하게 된다. 아침에 일어나서 하루 일정을 생각하는 순간 우리는 분류하고 선택해야 하며 곧바로 순서화된 행동을 하게 된다. 오늘 약속과 일, 학습 등의 우선 순위를 매기고 어떤 교통 수단을 선택해 움직일 것인지를 결정하고 주어진 하루 24시간을 배분해서 움직이게 된다.
이 밖에도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수학의 예는 셀 수 없이 많다. 휴가 기간에는 여행 스케줄을 최적화해야 하고, 통계 자료를 볼 때도 어떠한 조건에서 조사되었는지 고려해야 하며, 박스에 물건을 담을 때도 부피에 대한 감각이 있어야 한다.
‘몰라도 사는데 지장이 없다’라면 어쩔 수 없지만 ‘수학적 사고’를 통해 보다 풍요로운 삶의 정보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은 두말할 나위 없다. 가까이는 우리가 매일 만나는 신문 기사와 광고 속에도 수학적 사고가 올바른 정보 해석에 도움을 준다.
이번 7차 교육 과정 개정안을 보면 ''생활 속의 수학'' ''의사 소통으로서의 수학'' ''과학 속의 수학'' 등 수학이라는 과목이 일상 생활에서 보다 더 활용도를 높여서 학생들에게 친숙함을 주려고 많은 노력을 했다. 그래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사고의 틀을 잡아준다는 학습 효과를 높이려는 노력이 많이 나타나 있다. ''수학을 잘 한다''는 것이 수학 문제를 잘 푸는 것을 말하는 시대는 이제 아니다. 수학과 관련된 문제를 스스로 탐구하고 추측하고,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힘이 크다고 하는 ''수학적 사고력이 높다''라고 말하는 시대가 우리 눈앞에 있다.
이제는 수학적 사고력의 시대다
대부분 사람들은 학교를 떠나는 순간 수학을 그만두고 싶어 한다. 그리고 가끔은 ‘이 어려운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 써먹지?’라는 불평도 쏟아낸다. 하지만 수학은 ‘객관적 지식’의 모습으로 항상 우리 생활에 존재한다. 타이핑을 치고 있는 컴퓨터 자판과 모니터에도 수학이 있고, 이젠 일상이 되어버린 핸드폰도 수학이 없다면 존재할 수 없는 물건이다.
그러나 수학의 가치가 단순히 기술의 바탕으로만 이야기하면 아직도 뭔가 부족한 느낌이다. 수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여러 학문의 기초가 된다는 학문적 지위로 설명되는 그렇게 ‘으리으리한’ 수학만이 아니다. 사실은 더 가까운 생활 속에 수학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합리적인 판단을 위한 수학적 사고 과정이 보다 정확한 세계의 인식이나 행동을 결정하는데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의식하지 않는 동안에도 수학적 사고를 하게 된다. 아침에 일어나서 하루 일정을 생각하는 순간 우리는 분류하고 선택해야 하며 곧바로 순서화된 행동을 하게 된다. 오늘 약속과 일, 학습 등의 우선 순위를 매기고 어떤 교통 수단을 선택해 움직일 것인지를 결정하고 주어진 하루 24시간을 배분해서 움직이게 된다.
이 밖에도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수학의 예는 셀 수 없이 많다. 휴가 기간에는 여행 스케줄을 최적화해야 하고, 통계 자료를 볼 때도 어떠한 조건에서 조사되었는지 고려해야 하며, 박스에 물건을 담을 때도 부피에 대한 감각이 있어야 한다.
‘몰라도 사는데 지장이 없다’라면 어쩔 수 없지만 ‘수학적 사고’를 통해 보다 풍요로운 삶의 정보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은 두말할 나위 없다. 가까이는 우리가 매일 만나는 신문 기사와 광고 속에도 수학적 사고가 올바른 정보 해석에 도움을 준다.
이번 7차 교육 과정 개정안을 보면 ''생활 속의 수학'' ''의사 소통으로서의 수학'' ''과학 속의 수학'' 등 수학이라는 과목이 일상 생활에서 보다 더 활용도를 높여서 학생들에게 친숙함을 주려고 많은 노력을 했다. 그래서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수학적으로 생각하는 사고의 틀을 잡아준다는 학습 효과를 높이려는 노력이 많이 나타나 있다. ''수학을 잘 한다''는 것이 수학 문제를 잘 푸는 것을 말하는 시대는 이제 아니다. 수학과 관련된 문제를 스스로 탐구하고 추측하고,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힘이 크다고 하는 ''수학적 사고력이 높다''라고 말하는 시대가 우리 눈앞에 있다.
와이즈만 영재교육원 원주센터 유동욱 원장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