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페 사랑의 결실 (칼럼)
^재미동포 강영우(65) 박사가 또 화제에 올랐다. 베스트셀러 저자이고, 6개월 전까지 미국 부시 행정부 고위관료였던 그가 유명한 것은 시각장애를 극복한 아메리칸 드림의 표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의 아들과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화제의 중심에 끼어들어 더 관심을 끌었다. 부자가 백악관 고위 관료가 된 사연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오바마 대통령 입법 특별보좌관 크리스토퍼 강(한국명 강진영)은 “제 사무실 구경하러 오시지 않겠어요” 하고 아버지를 백악관에 초청했다. 약속 날인 7월 24일 오후 가벼운 마음으로 백악관에 들어간 강 박사는 놀랐다. 오바마 대통령과 에릭 홀더 법무장관, 시각장애인인 패터슨 뉴욕 주 지사 등 명사들을 줄줄이 만나게 된 것이다.
^알고 보니 백악관이 주최한 장애인 민권법 서명 19주년 기념행사에 초청된 것이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강 박사에게 “만나뵙게 되어 영광”이라고 인사하면서, “강 보좌관도 일을 잘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시각장애를 극복하고 크게 성공한 강 박사와 아들의 입신은 정말 흐뭇한 이야기다. 아무리 유명해도 화제란 한 번 흘러가버리면 잊어지는 속성이 있다. 그렇지만 그런 남편과 아들을 만들어낸 석은옥 여사의 초인적인 의지와 열정은 잊기 어려운 감동이다. 신문사 선배가 운영하는 인터넷 글방에서 읽은 석 여사의 고백록을 혼자 읽기 아까워 감동을 함께 나누고 싶다.
^석 여사는 숙명여대 영문과 1학년 때인 1960년대 초 중학생이던 강 박사를 처음 만났다. 걸스카우트 신입회원으로서 장애인들을 돕는 봉사 프로그램에 나갔다가 만난 소년은 가난과 실명으로 구겨진 얼굴이 아니었다. 열네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열다섯에 축구공을 얼굴에 맞아 실명을 한 일로 어머니마저 잃은 강 소년 3남매는 뿔뿔이 흩어졌다. 강 소년은 장애자 재활원으로 들어가 학교가 5년이나 늦었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여대생은 장애인 소년의 지팡이 노릇을 자청했다. 자연스럽게 누나 동생이 되었다. 누나의 헌신적인 보살핌으로 소년은 연세대 교육학과에 들어가고, 누나는 졸업 후 미국유학을 떠났다. 그 후로 너무도 아름다운 아가페 사랑이 6년이나 계속되었다.
^돌아와서 누나는 동생의 청혼을 받았다. 알고 보니 동생 나이는 한 살 아래였다. 외동딸을 둔 부모는 물론, 친구 친척 모두 극구 말렸어도 여대생은 에로스 사랑을 받아들였다.
^“대학생이던 그가 졸업하기까지 만3년이나 기다린 끝에 서른이 다 되어 결혼식을 올렸습니다. 친구들은 모두 판사 의사 약사 대기업 간부 부인이 되어 있을 때 연하인 맹인학사를 신랑으로 맞았지만, 어찌나 행복하고 감격스러웠는지···”
^결혼 그 자체가 행복이었다는 젊은 부부는 함께 미국유학을 떠났다. 이때부터 부부가 겪은 고난은 일일이 소개할 지면이 없다. 낯선 땅에서 장학금 외에는 한 푼의 수입도 없이 남편의 눈이 되고 손발이 되어야 했던 37년 세월을 어떻게 말로 다 하겠는가.
^“남의 집에 얹혀살면서 매일 집주인 설거지를 해주고 아이들을 돌보는 식모살이를 하면서도, 식모살이라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머지않아 박사가 될 남편을 내조한다고 생각하면 그런 기회를 준 하느님이 고마웠습니다. 오히려 아파트에 살 때보다 행복했습니다.”
^첫 시각장애인 박사가 되어 인디애나 주 정부에 취직이 된 뒤로도 석 여사는 남편의 운전사였다. 지금까지 33년 세월을 그렇게 살았다. “나는 그대의 지팡이, 그대는 나의 등대”라고 했다. 그런 고생과 노력 끝에 강 박사는 이름 앞에 ''Honorable'' 이라는 존칭이 붙는 연방정부 최고 공직자가 되었다. 대통령 직속 국가장애위원회 차관보가 된 것이다.
^아가페 사랑의 결실은 대를 이어 영글었다. 듀크대학 병원 의사인 큰 아들과 오바마 대통령 보좌관인 작은 아들 내외가 모두 박사다.
^석 여사는 이겨내기 어려운 고통 속에서도 절대로 좌절하거나 울지 않았다고 말했다. “출세지향적인 가치관이 아니라, 성취지향적인 가치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으로서 넘어야 할 물리적, 심리적, 법적, 제도적 장벽을 넘을 때마다 오히려 성취감을 느꼈다”는 말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부녀자 상이 떠오른다.
^즐겁고 멋지고 편한 것만 추구하는 남녀평등의 시대에 고리타분한 생각이라고 손가락질당할 각오를 가지고 말한다면, 어머니 시대의 여인상이 그리워 더 감동을 받았는지도 모르겠다. 그리운 것일수록 말하고 싶은 것이 사람이다. 이 세상에서 찾아보기 쉽지 않은 아가페 사랑의 결실을 보면서, 부덕(婦德)이라는 말을 곱씹어 본다.
( 문 창 재 객원논설위원 )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재미동포 강영우(65) 박사가 또 화제에 올랐다. 베스트셀러 저자이고, 6개월 전까지 미국 부시 행정부 고위관료였던 그가 유명한 것은 시각장애를 극복한 아메리칸 드림의 표본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의 아들과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화제의 중심에 끼어들어 더 관심을 끌었다. 부자가 백악관 고위 관료가 된 사연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오바마 대통령 입법 특별보좌관 크리스토퍼 강(한국명 강진영)은 “제 사무실 구경하러 오시지 않겠어요” 하고 아버지를 백악관에 초청했다. 약속 날인 7월 24일 오후 가벼운 마음으로 백악관에 들어간 강 박사는 놀랐다. 오바마 대통령과 에릭 홀더 법무장관, 시각장애인인 패터슨 뉴욕 주 지사 등 명사들을 줄줄이 만나게 된 것이다.
^알고 보니 백악관이 주최한 장애인 민권법 서명 19주년 기념행사에 초청된 것이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강 박사에게 “만나뵙게 되어 영광”이라고 인사하면서, “강 보좌관도 일을 잘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시각장애를 극복하고 크게 성공한 강 박사와 아들의 입신은 정말 흐뭇한 이야기다. 아무리 유명해도 화제란 한 번 흘러가버리면 잊어지는 속성이 있다. 그렇지만 그런 남편과 아들을 만들어낸 석은옥 여사의 초인적인 의지와 열정은 잊기 어려운 감동이다. 신문사 선배가 운영하는 인터넷 글방에서 읽은 석 여사의 고백록을 혼자 읽기 아까워 감동을 함께 나누고 싶다.
^석 여사는 숙명여대 영문과 1학년 때인 1960년대 초 중학생이던 강 박사를 처음 만났다. 걸스카우트 신입회원으로서 장애인들을 돕는 봉사 프로그램에 나갔다가 만난 소년은 가난과 실명으로 구겨진 얼굴이 아니었다. 열네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열다섯에 축구공을 얼굴에 맞아 실명을 한 일로 어머니마저 잃은 강 소년 3남매는 뿔뿔이 흩어졌다. 강 소년은 장애자 재활원으로 들어가 학교가 5년이나 늦었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여대생은 장애인 소년의 지팡이 노릇을 자청했다. 자연스럽게 누나 동생이 되었다. 누나의 헌신적인 보살핌으로 소년은 연세대 교육학과에 들어가고, 누나는 졸업 후 미국유학을 떠났다. 그 후로 너무도 아름다운 아가페 사랑이 6년이나 계속되었다.
^돌아와서 누나는 동생의 청혼을 받았다. 알고 보니 동생 나이는 한 살 아래였다. 외동딸을 둔 부모는 물론, 친구 친척 모두 극구 말렸어도 여대생은 에로스 사랑을 받아들였다.
^“대학생이던 그가 졸업하기까지 만3년이나 기다린 끝에 서른이 다 되어 결혼식을 올렸습니다. 친구들은 모두 판사 의사 약사 대기업 간부 부인이 되어 있을 때 연하인 맹인학사를 신랑으로 맞았지만, 어찌나 행복하고 감격스러웠는지···”
^결혼 그 자체가 행복이었다는 젊은 부부는 함께 미국유학을 떠났다. 이때부터 부부가 겪은 고난은 일일이 소개할 지면이 없다. 낯선 땅에서 장학금 외에는 한 푼의 수입도 없이 남편의 눈이 되고 손발이 되어야 했던 37년 세월을 어떻게 말로 다 하겠는가.
^“남의 집에 얹혀살면서 매일 집주인 설거지를 해주고 아이들을 돌보는 식모살이를 하면서도, 식모살이라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머지않아 박사가 될 남편을 내조한다고 생각하면 그런 기회를 준 하느님이 고마웠습니다. 오히려 아파트에 살 때보다 행복했습니다.”
^첫 시각장애인 박사가 되어 인디애나 주 정부에 취직이 된 뒤로도 석 여사는 남편의 운전사였다. 지금까지 33년 세월을 그렇게 살았다. “나는 그대의 지팡이, 그대는 나의 등대”라고 했다. 그런 고생과 노력 끝에 강 박사는 이름 앞에 ''Honorable'' 이라는 존칭이 붙는 연방정부 최고 공직자가 되었다. 대통령 직속 국가장애위원회 차관보가 된 것이다.
^아가페 사랑의 결실은 대를 이어 영글었다. 듀크대학 병원 의사인 큰 아들과 오바마 대통령 보좌관인 작은 아들 내외가 모두 박사다.
^석 여사는 이겨내기 어려운 고통 속에서도 절대로 좌절하거나 울지 않았다고 말했다. “출세지향적인 가치관이 아니라, 성취지향적인 가치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장애인으로서 넘어야 할 물리적, 심리적, 법적, 제도적 장벽을 넘을 때마다 오히려 성취감을 느꼈다”는 말에서 한국의 전통적인 부녀자 상이 떠오른다.
^즐겁고 멋지고 편한 것만 추구하는 남녀평등의 시대에 고리타분한 생각이라고 손가락질당할 각오를 가지고 말한다면, 어머니 시대의 여인상이 그리워 더 감동을 받았는지도 모르겠다. 그리운 것일수록 말하고 싶은 것이 사람이다. 이 세상에서 찾아보기 쉽지 않은 아가페 사랑의 결실을 보면서, 부덕(婦德)이라는 말을 곱씹어 본다.
( 문 창 재 객원논설위원 )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