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를 갖고 휠체어와 함께한 지 벌써 6년이다. 장애인은 시간도 많고, 누가 돈벌어오라고 강요하지도 않고, 진짜하기 싫은 일은 몸이 아프다는 핑계를 대면, 고개를 끄덕여주고, 약한 척 힘든척하면 도와주고. 장애가 특권인 냥 생각하며 살아오지는 않았는지 지난 시간들을 돌이켜본다. 무의미한 날들을 한데 묶어 커다란 의미를 부여하고 포장하여 자신의 삶이 제일 보람됐다 미화하지는 않았는지. 적어도 지구의 마지막 날에 사과나무는 심지 못하더라도 자신에게 떳떳한 삶을 살아보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아니, 다짐해본다. (글: 행복한 글쓰기 유영철 회원)
나를 돌아보게 만든 이글은 바로 성인 장애인 문학창작 동아리인 ‘행복한 글쓰기’ 회원인 유영철 회원의 글이다. 습작게시판에서 만난 이 글을 되새겨 읽으며 난 얼마나 치열하게 살고 있는지 자문했다. 고양시 장애인종합복지관 ‘행복한 글쓰기’ 모임은 성인 장애인 문학창작 동아리다. 행복한 글쓰기 회원들은 질병이나 사고로 살아가던 과정에서 장애를 입게 된 중도장애인들이다. 누구든 타인을 완벽하게 이해할 순 없겠지만 행복했던 어제와 다른 오늘을 맞게 된 그들의 절망과 아픔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다행히도 그들은 문학이란 친구를 만났고, 글쓰기를 통해 영혼만은 자유롭게 비상하고 있었다.
느긋하게 장애를 뛰어넘다
행복한 글쓰기는 재활의지를 심어주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는 중도장애인에게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주는 것은 물론, 정서적인 안정과 여유를 주고 동료 장애인과의 만남을 통해 함께 어깨동무하며 갈 수 있도록 용기를 주고 있다. 2004년에 출발한 모임은 현재 중도장애인과 가족 등 20여 명이 넘는 회원이 참가, 다양한 문학 활동을 펼치고 있다. 매주 수요일이면 복지관에 모여 전문강사로부터 글쓰기 교육을 받고, 문학기행과 글쓰기 시화전, 각종 장애인 문학제 참가, 작품집 발간 등의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행복한 글쓰기 회원 장인옥씨는 지난해 활발한 글쓰기 활동으로 좋은 성과를 거뒀다. 경기도 생활수기 공모전에 참가해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전국 장애인 근로자 대회에 참가 가작을 수상했다. 이완호씨는 대한민국 장애인 문학제에 참가 입상을 한 바 있다. 느리고 어눌하고, 어색한 자신의 신체지만 회원들은 글쓰기를 통해 절망이 아닌 희망을 발견하며 느긋하게 장애를 뛰어넘고 있었다.
아름다운 공감, 행복한 글쓰기
앞서 말했지만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게다가 갑작스럽게 전혀 다른 환경에 놓인 그들의 절망은 상상하기도 어렵다. 동병상련이란 말은 이럴 때 쓰이나보다. 장인옥씨는 “나와 비슷한 절망을 경험하고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마음이 열리면서 편안해진다”며 “회원들을 만나 글쓰기 활동을 하고 수다를 떨고 돌아오는 길엔 정신적으로 건강해진 나를 발견하게 된다”고 전했다.
몇 년 전 행복한 글쓰기에서는 전북 고창 선운사로 1박 2일의 문학여행을 계획한 적이 있다. 척추가 손상돼 하체가 불편한 한 회원이 일정에 부담을 느껴 여행을 포기하려 했다. 그러자 다른 회원들의 끊임없는 설득이 이어졌다. 여행의 포기하려는 회원의 마음을 모두 이해할 수 있었지만 그가 넘어야할 삶의 고비라는 것 또한 함께 공감했기에 끝내 그와 함께 하려한 것이다. 결국 긴 설득 끝에 그 회원은 함께 문학여행에 동참했고, 그는 이와 같은 글을 남겼다.
“세상일이 복잡하고 지겨울 땐 바다를 보고 싶다. 자연과 인간은 원래 하나인데 내 마음이 병들어 자연과 친구할 수 없음이 안타까웠다. 너무 사람에게서 집착 하는 내 자신이 가여웠다. 어서 내 문제를 해결하고 풍요롭고 사람다운 삶을 살고 싶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김 혁 회원의 ‘3년만의 여행’ 중에서)
행복한 글쓰기에 참여하는 회원 중엔 나중에 시를 쓰고 싶다는 회원, 말이 잘 되지 않아 글로 잘 표현해 보고 싶다는 회원, 그냥 사람과의 만남을 갖고 싶다는 회원, 또 나의 이야기를 언젠가 자서전으로 남기고 싶다는 회원 등 다양하다. 하지만 그들은 세상의 어떤 누구보다 자신과 처지가 같은 이들에 대한 아름다운 공감으로 서로를 일으키며, 자신을 성장시켜 가고 있었다. 배동일씨는 “몸이 불편해 말이 자유롭지 못하다. 손도 자유롭지 못해 왼손으로 글을 써가고 있다”며 “덕분에 천천히, 더 깊이 생각하며 세상을 살아가고 있어 글을 쓰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장인옥씨는 “맘속에 있는 아픔이나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글로 써 내려간다. 글쓰기는 내 맘을 다스리는 힘이며, 내 삶의 큰 보람”이라며 “앞으로도 열심히 쓰고 좋은 작품을 쓸 수 있도록 행복한 글쓰기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지연 리포터 yangjiyeon@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나를 돌아보게 만든 이글은 바로 성인 장애인 문학창작 동아리인 ‘행복한 글쓰기’ 회원인 유영철 회원의 글이다. 습작게시판에서 만난 이 글을 되새겨 읽으며 난 얼마나 치열하게 살고 있는지 자문했다. 고양시 장애인종합복지관 ‘행복한 글쓰기’ 모임은 성인 장애인 문학창작 동아리다. 행복한 글쓰기 회원들은 질병이나 사고로 살아가던 과정에서 장애를 입게 된 중도장애인들이다. 누구든 타인을 완벽하게 이해할 순 없겠지만 행복했던 어제와 다른 오늘을 맞게 된 그들의 절망과 아픔을 조금은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다행히도 그들은 문학이란 친구를 만났고, 글쓰기를 통해 영혼만은 자유롭게 비상하고 있었다.
느긋하게 장애를 뛰어넘다
행복한 글쓰기는 재활의지를 심어주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는 중도장애인에게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주는 것은 물론, 정서적인 안정과 여유를 주고 동료 장애인과의 만남을 통해 함께 어깨동무하며 갈 수 있도록 용기를 주고 있다. 2004년에 출발한 모임은 현재 중도장애인과 가족 등 20여 명이 넘는 회원이 참가, 다양한 문학 활동을 펼치고 있다. 매주 수요일이면 복지관에 모여 전문강사로부터 글쓰기 교육을 받고, 문학기행과 글쓰기 시화전, 각종 장애인 문학제 참가, 작품집 발간 등의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행복한 글쓰기 회원 장인옥씨는 지난해 활발한 글쓰기 활동으로 좋은 성과를 거뒀다. 경기도 생활수기 공모전에 참가해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전국 장애인 근로자 대회에 참가 가작을 수상했다. 이완호씨는 대한민국 장애인 문학제에 참가 입상을 한 바 있다. 느리고 어눌하고, 어색한 자신의 신체지만 회원들은 글쓰기를 통해 절망이 아닌 희망을 발견하며 느긋하게 장애를 뛰어넘고 있었다.
아름다운 공감, 행복한 글쓰기
앞서 말했지만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게다가 갑작스럽게 전혀 다른 환경에 놓인 그들의 절망은 상상하기도 어렵다. 동병상련이란 말은 이럴 때 쓰이나보다. 장인옥씨는 “나와 비슷한 절망을 경험하고 같은 장애를 가진 사람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마음이 열리면서 편안해진다”며 “회원들을 만나 글쓰기 활동을 하고 수다를 떨고 돌아오는 길엔 정신적으로 건강해진 나를 발견하게 된다”고 전했다.
몇 년 전 행복한 글쓰기에서는 전북 고창 선운사로 1박 2일의 문학여행을 계획한 적이 있다. 척추가 손상돼 하체가 불편한 한 회원이 일정에 부담을 느껴 여행을 포기하려 했다. 그러자 다른 회원들의 끊임없는 설득이 이어졌다. 여행의 포기하려는 회원의 마음을 모두 이해할 수 있었지만 그가 넘어야할 삶의 고비라는 것 또한 함께 공감했기에 끝내 그와 함께 하려한 것이다. 결국 긴 설득 끝에 그 회원은 함께 문학여행에 동참했고, 그는 이와 같은 글을 남겼다.
“세상일이 복잡하고 지겨울 땐 바다를 보고 싶다. 자연과 인간은 원래 하나인데 내 마음이 병들어 자연과 친구할 수 없음이 안타까웠다. 너무 사람에게서 집착 하는 내 자신이 가여웠다. 어서 내 문제를 해결하고 풍요롭고 사람다운 삶을 살고 싶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김 혁 회원의 ‘3년만의 여행’ 중에서)
행복한 글쓰기에 참여하는 회원 중엔 나중에 시를 쓰고 싶다는 회원, 말이 잘 되지 않아 글로 잘 표현해 보고 싶다는 회원, 그냥 사람과의 만남을 갖고 싶다는 회원, 또 나의 이야기를 언젠가 자서전으로 남기고 싶다는 회원 등 다양하다. 하지만 그들은 세상의 어떤 누구보다 자신과 처지가 같은 이들에 대한 아름다운 공감으로 서로를 일으키며, 자신을 성장시켜 가고 있었다. 배동일씨는 “몸이 불편해 말이 자유롭지 못하다. 손도 자유롭지 못해 왼손으로 글을 써가고 있다”며 “덕분에 천천히, 더 깊이 생각하며 세상을 살아가고 있어 글을 쓰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장인옥씨는 “맘속에 있는 아픔이나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것들을 글로 써 내려간다. 글쓰기는 내 맘을 다스리는 힘이며, 내 삶의 큰 보람”이라며 “앞으로도 열심히 쓰고 좋은 작품을 쓸 수 있도록 행복한 글쓰기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양지연 리포터 yangjiyeon@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