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경쟁력 없고, 참고서도 안팔리고
문화부 ‘모델서점’ 2곳 우선 지원 .. 저자초청 등 작은 도서관 형태 운영
인터넷 할인서점의 활성화로 궁지에 몰린 동네서점이 ‘모델서점’을 개발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서점조합연합회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서점을 리모델링해 독서강연과 저자초청 토론회 등 서점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문화부는 앞으로도 서점조합에서 기준을 갖춘 곳에 모델서점을 선정하면 시설 및 프로그램 개발비용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지원규모는 서점 당 2000만~3000만원 수준으로 현재 모델서점은 서울과 울산에 한 곳씩 조성 중이다.
문영호 문화부 출판인쇄산업과장은 “전국에 있는 3000여 개의 서점을 모두 지원할 수 없지만, 일부 모델서점 지원과 도서판매시스템 공급 등 서점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네서점의 이같은 변화는 최근들어 참고서도 팔리지 않는 최악의 상황에서 시작됐다. 현재 출간된 서적은 정가의 75% 가격으로 서점에 출고된다. 인터넷 서점의 경우 65% 수준의 낮은 가격대로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점에서는 가격 경쟁력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도서는 유통과정에서 정가를 강제하고 있다. 그만큼 출판문화의 중요성을 제도가 뒷받침하는 것이다. 2002년 8월 도서 정가를 포함한 ‘출판문화인쇄진흥법’을 제정했다. 그 이후 ‘전자상거래는 예외’로 정가의 10%를 할인할 수 있게 허용한 뒤 온·오프라인 모두 10% 할인규정을 적용했다.
하지만 할인율을 적용하기 힘든 동네 서점들은 서점의 공간 다양화 등을 통해 새 활로를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인터넷 서점 등이 등장하면서 지역 서점들은 매장이 줄고 매출액이 ‘반토막’ 났다며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 양천구의 한 서점인은 “올 3월 신학기의 참고서 매출이 작년 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그동안 참고서라도 팔아서 서점을 유지 했지만, 이젠 더 이상 운영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결국 한국서점조합연합회는 오는 26일 조합장 이사회를 열어 수금동결까지 결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창연 한국서점조합연합회장은 “서적 할인판매와 택배 서비스로 공정 경쟁이 안되고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서점들도 스스로 작은 도서관 형태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자구책을 마련해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문화부 ‘모델서점’ 2곳 우선 지원 .. 저자초청 등 작은 도서관 형태 운영
인터넷 할인서점의 활성화로 궁지에 몰린 동네서점이 ‘모델서점’을 개발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서점조합연합회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서점을 리모델링해 독서강연과 저자초청 토론회 등 서점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문화부는 앞으로도 서점조합에서 기준을 갖춘 곳에 모델서점을 선정하면 시설 및 프로그램 개발비용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지원규모는 서점 당 2000만~3000만원 수준으로 현재 모델서점은 서울과 울산에 한 곳씩 조성 중이다.
문영호 문화부 출판인쇄산업과장은 “전국에 있는 3000여 개의 서점을 모두 지원할 수 없지만, 일부 모델서점 지원과 도서판매시스템 공급 등 서점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네서점의 이같은 변화는 최근들어 참고서도 팔리지 않는 최악의 상황에서 시작됐다. 현재 출간된 서적은 정가의 75% 가격으로 서점에 출고된다. 인터넷 서점의 경우 65% 수준의 낮은 가격대로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점에서는 가격 경쟁력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도서는 유통과정에서 정가를 강제하고 있다. 그만큼 출판문화의 중요성을 제도가 뒷받침하는 것이다. 2002년 8월 도서 정가를 포함한 ‘출판문화인쇄진흥법’을 제정했다. 그 이후 ‘전자상거래는 예외’로 정가의 10%를 할인할 수 있게 허용한 뒤 온·오프라인 모두 10% 할인규정을 적용했다.
하지만 할인율을 적용하기 힘든 동네 서점들은 서점의 공간 다양화 등을 통해 새 활로를 찾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인터넷 서점 등이 등장하면서 지역 서점들은 매장이 줄고 매출액이 ‘반토막’ 났다며 후유증을 호소하고 있다.
서울 양천구의 한 서점인은 “올 3월 신학기의 참고서 매출이 작년 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그동안 참고서라도 팔아서 서점을 유지 했지만, 이젠 더 이상 운영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결국 한국서점조합연합회는 오는 26일 조합장 이사회를 열어 수금동결까지 결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창연 한국서점조합연합회장은 “서적 할인판매와 택배 서비스로 공정 경쟁이 안되고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서점들도 스스로 작은 도서관 형태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자구책을 마련해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