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동안 몸 관리하면 2학기가 편해진다
자세교정, 심리적 문제 등 학습에 지장 주는 요소 방학동안 치료해야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내 자식이지만 어딘가 부족하고 모자라는 것 같은 것은 부모의 욕심 때문 만일까.
좀처럼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고 아무리 잔소리를 해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가끔은 ‘아이들이 다 그렇다’는 생각을 의심해보기 마련이다.
바른 자세나 집중력, 심리적 문제들은 부모와의 관계형성 뿐 아니라 학교생활과 학습성취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질환들. 이번 호에는 아이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문제가 있다면 바로잡아 주어 즐거운 새학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학습이나 생활에 관련된 질환들을 짚어본다.
스트레스는 학습의 가장 큰 적
아마도 엄마와 아이가 가장 많이 부딪히는 부분은 공부 때문 아닐까. 엄마는 엄마대로 아이는 아이대로 ‘공부’라는 말에 할 말이 많다.
대구심리상담연구소 서은주 소장은 “아이들이 공부를 못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는 불안해서, 즉 야단치고 때리는 부모의 눈치를 보거나, 아니면 부모에게 대들고 신경전을 벌이느라 공부에 전념을 하지 못하는 경우, 또 하나는 전심전력으로 노력해도 불안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이 장기 기억을 돕는 해마체를 손상시켜 공부를 못하게 되는 경우”라고 조언한다.
스트레스가 학습에 주는 영향은 생각보다 크다. 따라서 아이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를 둘러싼 환경 즉, 가족과 집 모두가 변해야만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는 것.
한국아동발달센터 이성호 소장은 “가정에서 불안감 없이 잘 적응한다면 사회에 나가서도 무리 없이 적응하기 마련”이라며 “공부역시 사회에 적응하기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은주 소장은 “아이 스스로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 할 때는 심리상담가나 정신과 전문의 등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쳐 줘야 한다. 이는 아이의 지능 발달에도 아주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아무리 노력해도 제자리인 우리 아이 혹시 ADHD?
심리적인 문제가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지만 공부를 못하는 것이 ‘병’때문인 경우도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주의력결핍장애인 ADHD.
마인드앤헬스의원 배진우 원장은 “ADHD의 핵심 증상은 주의력 결핍 즉 집중력저하와 과잉행동, 충동성으로, ADHD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보통은 섞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아닌 경우도 있다”고 설명한다.
아이가 ADHD 때문에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면 우선 진단을 받아야 한다.
ADHD 진단은 면담, 지능 검사, 주의력 검사, 기초학습 검사, 시지각 발달검사 등을 통해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 후 지속적인 상담 및 약물치료를 받는다. 치료 효과는 초기부터 알 수 있다. 하지만 수년의 치료가 필요하고 치료로 변화된 행동이 몸에 익숙하게 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약을 먹으면 별다른 부작용은 없는데 초기 1~2주 사이에 약간 배가 아프거나, 식욕이 떨어지는 정도.
그러나 구체적인 질환 때문이 아니라 그저 집중력이 부족한 경우라면 공부방법을 바꾸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배 원장은 “아이에 따라 20분 집중하고 10분 쉬는 형태로 한순간 전력투구를 하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초시계를 이용하여 긴장감을 주면서 공부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 10분 안에 어느 정도의 일을 할 수 있는지 시간 개념을 알게 해서 타이밍에 대한 리듬감을 살려 주는 방법도 도움이 된다” 고 설명한다.
반복적 이상 행동 보이는 틱현상
흔히 틱현상이라고 말하는 뚜렛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6~7세에 시작되며 이후 형태를 바꿔가며 진행된다. 이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첫 번째 증상은 눈을 깜박거리거나 눈동자를 뒤집거나 굴리고, 입을 실룩거리거나 벌리는 것. 때로는 머리를 끄덕이며 어깨를 들썩이고 팔을 심하게 흔들기도 한다. 이보다 더 복잡한 운동 틱(핥기, 물건 냄새 맡기, 침 뱉기, 껑충 껑충 뛰기, 기이한 몸짓, 만지기)은 나중에 등장한다. 이 행동들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나게 된다.
뚜렛 증후군은 12~13세 무렵에 절정을 이루고 악화와 경감을 보이다가 16~30세 사이에 대부분 약화된다. 몇몇 환자의 경우 틱이 완전히 없어지기도 하지만 소수의 사람들은 평생 틱과 함께 살아야만 한다.
최상용 과장은 “뚜렛 증후군 환자 중 많은 경우 생활에 불편함이 없으므로 약 없이 생활 할 수 있다. 하지만 눈에 띄는 이상 행동이 심해 정서적 문제를 일으키고, 가정과 학업에서 문제가 있으면 약물치료를 하여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전문의들은 아이가 일종의 장애가 있다는 사실에 부모가 먼저 좌절을 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한다. 틱은 어떤 부담감으로 인해, 특히 긴장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더 심해진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칭찬을 들으면 틱을 잘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그만해!”라는 요구를 받으면 틱은 더욱 심해진다. 그러므로 될 수 있으면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가 되도록 해야 한다.
최 과장은 “특히 인격이 완성되지 않은 아이일수록 부모의 격려와 이해는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긍정적인 태도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치료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바른 자세가 ‘착한’ 성적을 낳는다
심리적 문제만큼이나 요즘 아이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잘못된 자세. 잘못된 자세로 일상생활을 하면 척추가 삐뚤어지고 키가 잘 크지 않는다.
책상에 구부정하게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다리를 꼬고 비스듬히 앉아서 TV를 보거나, 시간가는 줄 모르고 고개를 숙여 컴퓨터를 하거나, 엎드려 자면 척추에 많은 부담이 간다.
신정식 한의원 신정식 원장은 “허리를 구부려 장시간 공부하면 허리의 근육은 긴장을 하게 되고 디스크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허리의 통증이 올 수 있다. 또 의자나 소파에 다리를 꼬고 비스듬히 앉는 습관은 척추나 골반을 비틀어지게 하고 한쪽 다리의 길이가 짧아지게 한다. 이렇게 되면 보행시 피로감, 척추 변형 뿐 아니라 관절 통증, 성장장애도 유발한다”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는 바른 자세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황금연합신경외과 정한섭 원장은 “수험생처럼 온종일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디스크에 영양공급이 잘 되지 않고 디스크의 수분이 빠져나가고 조기에 퇴행성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디스크의 퇴행성변화가 있으면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디스크가 탈출하여 허리가 아프거나 다리가 저리게 되어 장시간 앉아 있기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방에서 사용하는 추나 요법은 비뚤어진 척추를 바로 잡아주고 디스크의 압력을 줄여주어 허리나 목의 통증을 치료할 뿐 아니라 키도 잘 크게 하는 효과가 있다. 양방에서는 척추교정과 자세교정 치료와 함께 운동요법을 이용해 척추측만증을 치료한다.
자세교정으로 척추질환 추방
장시간 고개를 숙여서 공부를 하거나 컴퓨터를 하면 경추(목뼈)의 정상적인 C자 모양의 커브가 펴지면서 일자목이 되고 목의 통증을 유발하며, 어릴 때부터 엎드려 자는 습관은 목뼈를 비틀어지게 하고, 팔자(八字) 걸음을 걷거나, O다리로 걷게 된다.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처럼 어릴 때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지 않으면 나이가 들면서 척추질환을 앓게 된다. 본인은 물론이고 가족도 이 병을 잘 이해하고 서로 협력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셈이다.
키네스성장센터 원장은 “평소에 척추에 부담이 적게 가는 자세를 취하고 수업시간에도 엉덩이를 의자에서 조금씩 들어 올려주어 디스크의 압력을 줄여 주는 한편, 쉬는 시간에는 일어서서 허리와 목을 뒤로 젖혀주어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면 척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며 "잠을 잘 때도 가급적 똑바로 누워 잠을 자야 디스크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움말
마인드앤헬스의원 배진우 원장
신정식 한의원 신정식 원장
황금연합신경외과 정한섭 원장
키네스 성장센터 원장
대구심리상담연구소 서은주 소장
한국아동발달센터 이성호 원장
김수진 리포터 jhjy0926@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자세교정, 심리적 문제 등 학습에 지장 주는 요소 방학동안 치료해야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내 자식이지만 어딘가 부족하고 모자라는 것 같은 것은 부모의 욕심 때문 만일까.
좀처럼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고 아무리 잔소리를 해도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가끔은 ‘아이들이 다 그렇다’는 생각을 의심해보기 마련이다.
바른 자세나 집중력, 심리적 문제들은 부모와의 관계형성 뿐 아니라 학교생활과 학습성취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질환들. 이번 호에는 아이를 자세히 들여다보고 문제가 있다면 바로잡아 주어 즐거운 새학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학습이나 생활에 관련된 질환들을 짚어본다.
스트레스는 학습의 가장 큰 적
아마도 엄마와 아이가 가장 많이 부딪히는 부분은 공부 때문 아닐까. 엄마는 엄마대로 아이는 아이대로 ‘공부’라는 말에 할 말이 많다.
대구심리상담연구소 서은주 소장은 “아이들이 공부를 못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는 불안해서, 즉 야단치고 때리는 부모의 눈치를 보거나, 아니면 부모에게 대들고 신경전을 벌이느라 공부에 전념을 하지 못하는 경우, 또 하나는 전심전력으로 노력해도 불안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이 장기 기억을 돕는 해마체를 손상시켜 공부를 못하게 되는 경우”라고 조언한다.
스트레스가 학습에 주는 영향은 생각보다 크다. 따라서 아이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 아이를 둘러싼 환경 즉, 가족과 집 모두가 변해야만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는 것.
한국아동발달센터 이성호 소장은 “가정에서 불안감 없이 잘 적응한다면 사회에 나가서도 무리 없이 적응하기 마련”이라며 “공부역시 사회에 적응하기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은주 소장은 “아이 스스로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 할 때는 심리상담가나 정신과 전문의 등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쳐 줘야 한다. 이는 아이의 지능 발달에도 아주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아무리 노력해도 제자리인 우리 아이 혹시 ADHD?
심리적인 문제가 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있지만 공부를 못하는 것이 ‘병’때문인 경우도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주의력결핍장애인 ADHD.
마인드앤헬스의원 배진우 원장은 “ADHD의 핵심 증상은 주의력 결핍 즉 집중력저하와 과잉행동, 충동성으로, ADHD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보통은 섞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아닌 경우도 있다”고 설명한다.
아이가 ADHD 때문에 전문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면 우선 진단을 받아야 한다.
ADHD 진단은 면담, 지능 검사, 주의력 검사, 기초학습 검사, 시지각 발달검사 등을 통해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 후 지속적인 상담 및 약물치료를 받는다. 치료 효과는 초기부터 알 수 있다. 하지만 수년의 치료가 필요하고 치료로 변화된 행동이 몸에 익숙하게 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 약을 먹으면 별다른 부작용은 없는데 초기 1~2주 사이에 약간 배가 아프거나, 식욕이 떨어지는 정도.
그러나 구체적인 질환 때문이 아니라 그저 집중력이 부족한 경우라면 공부방법을 바꾸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배 원장은 “아이에 따라 20분 집중하고 10분 쉬는 형태로 한순간 전력투구를 하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되고, 초시계를 이용하여 긴장감을 주면서 공부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 10분 안에 어느 정도의 일을 할 수 있는지 시간 개념을 알게 해서 타이밍에 대한 리듬감을 살려 주는 방법도 도움이 된다” 고 설명한다.
반복적 이상 행동 보이는 틱현상
흔히 틱현상이라고 말하는 뚜렛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6~7세에 시작되며 이후 형태를 바꿔가며 진행된다. 이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첫 번째 증상은 눈을 깜박거리거나 눈동자를 뒤집거나 굴리고, 입을 실룩거리거나 벌리는 것. 때로는 머리를 끄덕이며 어깨를 들썩이고 팔을 심하게 흔들기도 한다. 이보다 더 복잡한 운동 틱(핥기, 물건 냄새 맡기, 침 뱉기, 껑충 껑충 뛰기, 기이한 몸짓, 만지기)은 나중에 등장한다. 이 행동들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어나게 된다.
뚜렛 증후군은 12~13세 무렵에 절정을 이루고 악화와 경감을 보이다가 16~30세 사이에 대부분 약화된다. 몇몇 환자의 경우 틱이 완전히 없어지기도 하지만 소수의 사람들은 평생 틱과 함께 살아야만 한다.
최상용 과장은 “뚜렛 증후군 환자 중 많은 경우 생활에 불편함이 없으므로 약 없이 생활 할 수 있다. 하지만 눈에 띄는 이상 행동이 심해 정서적 문제를 일으키고, 가정과 학업에서 문제가 있으면 약물치료를 하여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전문의들은 아이가 일종의 장애가 있다는 사실에 부모가 먼저 좌절을 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한다. 틱은 어떤 부담감으로 인해, 특히 긴장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더 심해진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칭찬을 들으면 틱을 잘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그만해!”라는 요구를 받으면 틱은 더욱 심해진다. 그러므로 될 수 있으면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가 되도록 해야 한다.
최 과장은 “특히 인격이 완성되지 않은 아이일수록 부모의 격려와 이해는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긍정적인 태도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치료에서 아주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바른 자세가 ‘착한’ 성적을 낳는다
심리적 문제만큼이나 요즘 아이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잘못된 자세. 잘못된 자세로 일상생활을 하면 척추가 삐뚤어지고 키가 잘 크지 않는다.
책상에 구부정하게 앉아서 공부를 하거나, 다리를 꼬고 비스듬히 앉아서 TV를 보거나, 시간가는 줄 모르고 고개를 숙여 컴퓨터를 하거나, 엎드려 자면 척추에 많은 부담이 간다.
신정식 한의원 신정식 원장은 “허리를 구부려 장시간 공부하면 허리의 근육은 긴장을 하게 되고 디스크에 많은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허리의 통증이 올 수 있다. 또 의자나 소파에 다리를 꼬고 비스듬히 앉는 습관은 척추나 골반을 비틀어지게 하고 한쪽 다리의 길이가 짧아지게 한다. 이렇게 되면 보행시 피로감, 척추 변형 뿐 아니라 관절 통증, 성장장애도 유발한다”며 특히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는 바른 자세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황금연합신경외과 정한섭 원장은 “수험생처럼 온종일 의자에 앉아있는 경우 디스크에 영양공급이 잘 되지 않고 디스크의 수분이 빠져나가고 조기에 퇴행성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디스크의 퇴행성변화가 있으면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디스크가 탈출하여 허리가 아프거나 다리가 저리게 되어 장시간 앉아 있기 어려움이 있어 학습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방에서 사용하는 추나 요법은 비뚤어진 척추를 바로 잡아주고 디스크의 압력을 줄여주어 허리나 목의 통증을 치료할 뿐 아니라 키도 잘 크게 하는 효과가 있다. 양방에서는 척추교정과 자세교정 치료와 함께 운동요법을 이용해 척추측만증을 치료한다.
자세교정으로 척추질환 추방
장시간 고개를 숙여서 공부를 하거나 컴퓨터를 하면 경추(목뼈)의 정상적인 C자 모양의 커브가 펴지면서 일자목이 되고 목의 통증을 유발하며, 어릴 때부터 엎드려 자는 습관은 목뼈를 비틀어지게 하고, 팔자(八字) 걸음을 걷거나, O다리로 걷게 된다.
“세살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처럼 어릴 때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지 않으면 나이가 들면서 척추질환을 앓게 된다. 본인은 물론이고 가족도 이 병을 잘 이해하고 서로 협력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셈이다.
키네스성장센터 원장은 “평소에 척추에 부담이 적게 가는 자세를 취하고 수업시간에도 엉덩이를 의자에서 조금씩 들어 올려주어 디스크의 압력을 줄여 주는 한편, 쉬는 시간에는 일어서서 허리와 목을 뒤로 젖혀주어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면 척추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며 "잠을 잘 때도 가급적 똑바로 누워 잠을 자야 디스크에 가해지는 힘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움말
마인드앤헬스의원 배진우 원장
신정식 한의원 신정식 원장
황금연합신경외과 정한섭 원장
키네스 성장센터 원장
대구심리상담연구소 서은주 소장
한국아동발달센터 이성호 원장
김수진 리포터 jhjy0926@naver.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