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해양수산부에 현대산업개발측이 마산신항만개발사업계획서를 제출했다. 이 사업계획서 따르면 5개 선석의 항만조성과 준설토 투기장 및 부지조성부대사업인 서항지구41만평 매립, 화물처리계획만 나와있으며 지난해 4월 도와 시, 현대산업개발과 벨기에 IPEM사간 체결된 민간투자의향서 중 서항지구 41만평 매립은 빠져있다.
"정부고시에도 매립사업은 없다"
이에 대해 4월 28일 현대산업개발관계자는 "정부고시안에 매립사업이 없다"는 것을 강조하며 "항만건설사업과 매립사업은 별개의 사업"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11월 정부고시에는 항만건설과 준설토투기장만 포함돼 있다. 이 관계자는 매립사업이 "부동산 경기가 그나마 좋던 IMF이전 97년 초 검토됐다가 IMF이후 부동산경기가 나빠지면서 사업성이 낮아져 폐기됐다"고 밝혔다. 현재로서 이 매립사업이 하려면 "시와 도 등 지자체와 공동참여해 세금혜택을 받아 낮은 분양가로 낼 수 있을 때나 가능하다"고 말했다. 지난 3월 27일 시청대회의실에서 열린 투자설명회에서 현대 측은 시와 도에 이러한 입장을 전달했다. 하지만 마산시는 "예산이 부족 등"의 이유로 항만건설이 완료되는 시점에 이 사업을 재검토한다고 지난 달 25일 현대측에 통보했다.
"준설토투기장을 쓸모있게 만드는 일이 매립사업"
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신항만 건설에 따라 "최고 3만톤 규모의 배가 들어오기 위해서는 13m의 바다깊이가 돼야 한다"고 말하고 그러기 위해 "파헤쳐진 토양 즉 준설토를 버리면 42만평 규모의 부지가 만들어진다"고 했다. 하지만 마산시관계자는 이 땅이 쓸 수 있는 매립지가 되려면 "2m 높이의 해사와 4m를 투기하는 등 부지조성을 위한 작업이 더 있어야 하며 1700억 정도의 예산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준설토투기장을 쓸모있게 만드는 일이 매립사업"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장기적으로 투기장은 매립사업이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확인해 줬다. 42만평 규모의 투기장이 부지조성 없이 버려진다면 아무 쓸모가 없어지기 때문. 이로 볼 때 매립사업은 투기장 조성 후 단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매립만사업은 해양수산부와 시민단체가 논의할 사항"
다른 마산시관계자는 "매립만사업의 수익성과 환경영향에 대해서 해양수산부와 시민단체가 논의할 사항"이라고 방관했다. '지역에서 시민들의 여론과 중앙정부의 사업이 마찰을 일 때지자체정부가 나서서 조정해야하지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 관계자는 "매립만사업에 대해서 시가 별다른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고 했다. 또 '매립지사업으로 시 유휴지가 늘어나는데 장기적인 시 계획이 있지 않냐'는 대해서 "경제보다는 환경이 우선해야 하지 않냐"며 "해양수산부와 시민단체가 공동조사해서 수익성이나 환경문제 등 신항만건설이나 매립사업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창 강주화 기자 jhgang@naeil.com
"정부고시에도 매립사업은 없다"
이에 대해 4월 28일 현대산업개발관계자는 "정부고시안에 매립사업이 없다"는 것을 강조하며 "항만건설사업과 매립사업은 별개의 사업"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11월 정부고시에는 항만건설과 준설토투기장만 포함돼 있다. 이 관계자는 매립사업이 "부동산 경기가 그나마 좋던 IMF이전 97년 초 검토됐다가 IMF이후 부동산경기가 나빠지면서 사업성이 낮아져 폐기됐다"고 밝혔다. 현재로서 이 매립사업이 하려면 "시와 도 등 지자체와 공동참여해 세금혜택을 받아 낮은 분양가로 낼 수 있을 때나 가능하다"고 말했다. 지난 3월 27일 시청대회의실에서 열린 투자설명회에서 현대 측은 시와 도에 이러한 입장을 전달했다. 하지만 마산시는 "예산이 부족 등"의 이유로 항만건설이 완료되는 시점에 이 사업을 재검토한다고 지난 달 25일 현대측에 통보했다.
"준설토투기장을 쓸모있게 만드는 일이 매립사업"
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신항만 건설에 따라 "최고 3만톤 규모의 배가 들어오기 위해서는 13m의 바다깊이가 돼야 한다"고 말하고 그러기 위해 "파헤쳐진 토양 즉 준설토를 버리면 42만평 규모의 부지가 만들어진다"고 했다. 하지만 마산시관계자는 이 땅이 쓸 수 있는 매립지가 되려면 "2m 높이의 해사와 4m를 투기하는 등 부지조성을 위한 작업이 더 있어야 하며 1700억 정도의 예산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준설토투기장을 쓸모있게 만드는 일이 매립사업"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장기적으로 투기장은 매립사업이 이뤄질 수밖에 없다"고 확인해 줬다. 42만평 규모의 투기장이 부지조성 없이 버려진다면 아무 쓸모가 없어지기 때문. 이로 볼 때 매립사업은 투기장 조성 후 단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측된다.
"매립만사업은 해양수산부와 시민단체가 논의할 사항"
다른 마산시관계자는 "매립만사업의 수익성과 환경영향에 대해서 해양수산부와 시민단체가 논의할 사항"이라고 방관했다. '지역에서 시민들의 여론과 중앙정부의 사업이 마찰을 일 때지자체정부가 나서서 조정해야하지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 관계자는 "매립만사업에 대해서 시가 별다른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고 했다. 또 '매립지사업으로 시 유휴지가 늘어나는데 장기적인 시 계획이 있지 않냐'는 대해서 "경제보다는 환경이 우선해야 하지 않냐"며 "해양수산부와 시민단체가 공동조사해서 수익성이나 환경문제 등 신항만건설이나 매립사업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창 강주화 기자 jhga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