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남녀 2명이상 자녀 희망 … 교육비 가장 큰 부담
복지부 2005년도 전국 결혼·출산 동향 조사
우리나라 기혼 취업 여성 2명 가운데 1명이 첫째아 출산 전후로 취업을 중단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남녀 80%는 여건이 허락되면 2명보다 많은 자녀를 낳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전체 생활비 가운데 자녀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3일 이와 같은 내용의 ‘2005년도 전국 결혼·출산 동향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4세 연령층에 속한 전국 기혼여성 3802명과 미혼남녀 2670명을 대상으로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가정 전념위해 취업 중단 =
일하는 여성이 결혼을 전후해 직장을 그만둔 비율이 61.2%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와 같은 직업 단절을 경험한 여성 가운데 절반이 조금 넘는 52.8%만이 재취업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을 전후해 직장을 그만 둔 이유로는 ‘가정에 전념하기 위해’(27.5%), ‘임신·출산 때문에’(17.9%), ‘가정과 직장 일을 동시에 할 수 없어서’(17.2%) 등이 많았고, 해고나 인사상 불이익을 당한 경우는 3.7%였다.
이처럼 결혼·출산으로 인해 직장을 그만둔 여성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자녀를 더 낳겠다는 출산 욕구가 현격히 줄어들어 20대 초반은 13.6% 포인트, 20대 후반은 16.8% 포인트, 30대 초반은 8.9% 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상용직에 근무하던 여성이 직장을 잃은 후 취업 전선에 복귀할 때 다시 상용직이 된 경우는 38%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임시·일용직으로 하향 이동했다.
비취업 기혼여성 가운데 69.2%가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등으로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혼 여성의 58.5%는 남편과의 가사 분담이 불공평하다고 느겼고, 취업한 기혼 여성 54%도 마찬가지 입장을 보였다. 집안일과 자녀 돌보기에 아내가 하루 평균 5시간 20분을 들이는 데 비해 남편은 1시간 9분에 불과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는 아내가 3시간 17분, 남편이 1시간 12분으로 조사됐다.
◆저연령층일수록 자녀 필요성 약화 =
2자녀 이상 낳기를 희망하는 비율이 미혼남성은 85.9%, 미혼여성은 81.8%로 매우 높게 나타나 현실 여건이 허락하면 많은 자녀를 가지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혼 여성의 경우 64.4%가 자녀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20~24세 연령층은 55.7%, 25~29세는 60.8%, 30~34세는 63.5%로, 나이가 적을수록 자녀의 필요성에 소극적이었다.미혼자 가운데 결혼을 하겠다는 응답은 남성이 82.5%, 여성이 73.8%로 각각 나타났다. 그러나 35세 이상 미혼여성의 경우 50%만이 결혼을 희망하는 등 나이가 들수록 결혼 포기율이 높아졌다.
결혼 계획 연령은 남성이 평균 31.8세, 여성이 29.7세로 30세를 전후해 결혼을 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배우자의 조건으로 남성은 성격(38.2%)과 신뢰·사랑(22.5%), 건강(10.1%), 신체적 조건(9.4%) 등을, 여성은 경제력(30.8%)과 성격(23.8%), 신뢰·사랑(19.5%) 등을 중시했다.
‘결혼과 관계없이 성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데 대해선 미혼 남성의 64.2%, 미혼 여성의 40.9%가 찬성했고, ‘자녀가 있어도 이혼할 수 있다’는 데는 미혼 남성의 37.9%, 미혼 여성의 56.4%가 동의해 여성이 높았다.
미혼 남성의 93.1%, 미혼 여성의 88.7%는 자녀를 낳고 싶다고 밝혔으나 남성의 경우 자녀 양육 부담(22.4%), 자녀 교육 부담(18%), 소득 불안정(17.5%) 등을 이유로, 여성은 자녀 양육 부담(24.5%), 자녀 교육 부담(22.3%), 일·가정 양립 곤란(17.6%) 등을 이유로 1자녀만 갖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2명 이상일 때 교육비 부담 크게 늘어 =
자녀가 있는 가구 가운데 전체 생활비 중 자녀 교육비를 가장 많이 지출했다는 응답이 51.7%로 절반을 넘었다. 이어 식료품비(19.3%), 주거비(15.3%), 보험료(5.4%) 등의 순이었다.
그나마 자녀가 1명일 때는 그 비율이 23.8%에 그쳤으나 2명이 되면 59%, 3명 이상은 63.8%에 달했다. 자녀를 2명 이상 낳을 경우 양육·교육비 부담이 대폭 늘어나는 셈이다.
자녀가 초등학생일 때는 사교육비로 월평균 26만4000원, 중학생은 35만5000원, 고등학생 44만3000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학전 자녀의 월평균 보육·교육비는 0~2세가 9만원, 3세~취학전이 19만원 정도 소요됐다.
이와 함께 주택 보유 여부도 출산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세 기혼 여성의 경우 주택 보유시 평균 자녀 수가 0.88명인데 비해 무주택자는 0.66명에 그쳤다. 25~29세 기혼 여성도 주택 보유시 1.14명, 무주택시 1.04명이었고 30~34세는 1.70명, 1.60명, 35~39세는 1.98명, 1.93명으로 무주택자의 저출산 경향이 높았다.
미혼 남성이 결혼을 미루는 이유로는 21.3%가 주택·혼수 등 결혼비용 부담을 들었고 이어 소득 부족(19.2%), 직업 불안정(17.3%) 등의 순이었다. 미혼 여성은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17.8%)과 결혼비용 부담(13.2%) 등을 꼽았다.
초혼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녀수가 줄어드는 경향도 확연했다. 초혼 연령이 24세 이한인 경우는 평균 자녀수가 1.95명이었으나 25~29세는 1.65명, 30~34세 1.22명, 35세 이상 0.71명으로 조사됐다.
기혼 여성들은 저출산 대책으로 자녀 양육·교육비 지원(35.5%)과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지원(24.6%) 등을 희망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복지부 2005년도 전국 결혼·출산 동향 조사
우리나라 기혼 취업 여성 2명 가운데 1명이 첫째아 출산 전후로 취업을 중단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남녀 80%는 여건이 허락되면 2명보다 많은 자녀를 낳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전체 생활비 가운데 자녀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3일 이와 같은 내용의 ‘2005년도 전국 결혼·출산 동향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4세 연령층에 속한 전국 기혼여성 3802명과 미혼남녀 2670명을 대상으로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가정 전념위해 취업 중단 =
일하는 여성이 결혼을 전후해 직장을 그만둔 비율이 61.2%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와 같은 직업 단절을 경험한 여성 가운데 절반이 조금 넘는 52.8%만이 재취업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을 전후해 직장을 그만 둔 이유로는 ‘가정에 전념하기 위해’(27.5%), ‘임신·출산 때문에’(17.9%), ‘가정과 직장 일을 동시에 할 수 없어서’(17.2%) 등이 많았고, 해고나 인사상 불이익을 당한 경우는 3.7%였다.
이처럼 결혼·출산으로 인해 직장을 그만둔 여성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자녀를 더 낳겠다는 출산 욕구가 현격히 줄어들어 20대 초반은 13.6% 포인트, 20대 후반은 16.8% 포인트, 30대 초반은 8.9% 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상용직에 근무하던 여성이 직장을 잃은 후 취업 전선에 복귀할 때 다시 상용직이 된 경우는 38%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임시·일용직으로 하향 이동했다.
비취업 기혼여성 가운데 69.2%가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나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등으로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혼 여성의 58.5%는 남편과의 가사 분담이 불공평하다고 느겼고, 취업한 기혼 여성 54%도 마찬가지 입장을 보였다. 집안일과 자녀 돌보기에 아내가 하루 평균 5시간 20분을 들이는 데 비해 남편은 1시간 9분에 불과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는 아내가 3시간 17분, 남편이 1시간 12분으로 조사됐다.
◆저연령층일수록 자녀 필요성 약화 =
2자녀 이상 낳기를 희망하는 비율이 미혼남성은 85.9%, 미혼여성은 81.8%로 매우 높게 나타나 현실 여건이 허락하면 많은 자녀를 가지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혼 여성의 경우 64.4%가 자녀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나 20~24세 연령층은 55.7%, 25~29세는 60.8%, 30~34세는 63.5%로, 나이가 적을수록 자녀의 필요성에 소극적이었다.미혼자 가운데 결혼을 하겠다는 응답은 남성이 82.5%, 여성이 73.8%로 각각 나타났다. 그러나 35세 이상 미혼여성의 경우 50%만이 결혼을 희망하는 등 나이가 들수록 결혼 포기율이 높아졌다.
결혼 계획 연령은 남성이 평균 31.8세, 여성이 29.7세로 30세를 전후해 결혼을 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배우자의 조건으로 남성은 성격(38.2%)과 신뢰·사랑(22.5%), 건강(10.1%), 신체적 조건(9.4%) 등을, 여성은 경제력(30.8%)과 성격(23.8%), 신뢰·사랑(19.5%) 등을 중시했다.
‘결혼과 관계없이 성관계를 가질 수 있다’는 데 대해선 미혼 남성의 64.2%, 미혼 여성의 40.9%가 찬성했고, ‘자녀가 있어도 이혼할 수 있다’는 데는 미혼 남성의 37.9%, 미혼 여성의 56.4%가 동의해 여성이 높았다.
미혼 남성의 93.1%, 미혼 여성의 88.7%는 자녀를 낳고 싶다고 밝혔으나 남성의 경우 자녀 양육 부담(22.4%), 자녀 교육 부담(18%), 소득 불안정(17.5%) 등을 이유로, 여성은 자녀 양육 부담(24.5%), 자녀 교육 부담(22.3%), 일·가정 양립 곤란(17.6%) 등을 이유로 1자녀만 갖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2명 이상일 때 교육비 부담 크게 늘어 =
자녀가 있는 가구 가운데 전체 생활비 중 자녀 교육비를 가장 많이 지출했다는 응답이 51.7%로 절반을 넘었다. 이어 식료품비(19.3%), 주거비(15.3%), 보험료(5.4%) 등의 순이었다.
그나마 자녀가 1명일 때는 그 비율이 23.8%에 그쳤으나 2명이 되면 59%, 3명 이상은 63.8%에 달했다. 자녀를 2명 이상 낳을 경우 양육·교육비 부담이 대폭 늘어나는 셈이다.
자녀가 초등학생일 때는 사교육비로 월평균 26만4000원, 중학생은 35만5000원, 고등학생 44만3000원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학전 자녀의 월평균 보육·교육비는 0~2세가 9만원, 3세~취학전이 19만원 정도 소요됐다.
이와 함께 주택 보유 여부도 출산에 적잖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세 기혼 여성의 경우 주택 보유시 평균 자녀 수가 0.88명인데 비해 무주택자는 0.66명에 그쳤다. 25~29세 기혼 여성도 주택 보유시 1.14명, 무주택시 1.04명이었고 30~34세는 1.70명, 1.60명, 35~39세는 1.98명, 1.93명으로 무주택자의 저출산 경향이 높았다.
미혼 남성이 결혼을 미루는 이유로는 21.3%가 주택·혼수 등 결혼비용 부담을 들었고 이어 소득 부족(19.2%), 직업 불안정(17.3%) 등의 순이었다. 미혼 여성은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17.8%)과 결혼비용 부담(13.2%) 등을 꼽았다.
초혼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녀수가 줄어드는 경향도 확연했다. 초혼 연령이 24세 이한인 경우는 평균 자녀수가 1.95명이었으나 25~29세는 1.65명, 30~34세 1.22명, 35세 이상 0.71명으로 조사됐다.
기혼 여성들은 저출산 대책으로 자녀 양육·교육비 지원(35.5%)과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지원(24.6%) 등을 희망했다.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