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가리봉동 ‘구로구 옌벤동’
구로구 가리봉1동에 있는 가리봉시장 일대는 구로구 ‘옌벤동(연변동)’이라 불릴 만큼 중국동포들이 많다. 10월 말 현재 가리봉동의 전체 인구는 1만5000명 수준이지만 일대에는 1만명에 가까운 중국인과 중국동포(조선족)들이 살고 있다. 하지만 지난 12일 오후 기자가 찾아을 때는 예상외로 한산했다. 3월까지만 해도 거주 동포가 3만명에 이르렀지만 지난 3월 22일부터 실시된 ‘중국동포 자진귀국 프로그램’으로 불법이거나 체류기간이 만료된 사람들이 빠져나간 뒤 아직 재입국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무실 유리창에는 ‘월세 놓는다’는 광고물이 빼곡히 붙어있는 가리봉시장 인근 충청부동산의 정명섭(50)씨는 “보증금 100만원에 월세 10만원하는 쪽방들이 부지기수로 비어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불만을 삭히는 중 = 90년을 전후해 시작된 중국동포들의 대규모 입국 이후 정부는 ‘재외동포법’ 개정과 ‘중국동포 자진귀국 프로그램’, ‘단기 취업 교육’ 등을 통해 이들을 우리 사회에 통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변 조선족’ 대신 ‘중국동포’라는 단어가 공식용어가 될 정도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제도 말고도 중국동포들이 뛰어넘기 힘든 벽이 존재한다.
가리봉시장 입구에서 만난 임 모(여·48)씨는 입국 8년째인 중국동포이다. 임씨는 한참 동안 대화를 나누면서 중국동포라는 느낌을 전혀 받을 수 없을 만큼 완벽하게 ‘서울사람’이 돼 있었다.
임씨는 입국 하던 해 한국국적을 회복했고 지금의 남편을 만나 새 삶을 살고 있다. ‘조선족’에 대한 ‘색다른 시선’을 느낄 때 마다 말투를 뜯어 고치고 생각도 서울 사람처럼 해야 한다고 다짐했다.
그는 “주위 동료들에게도 ‘적극적으로 노력해 한국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임씨는 “한국국적을 취득한 사람을 포함해서 중국동포 대부분이 차별을 경험했고 80% 이상이 한국인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동포를 차별하는 것에 대해 불만으로 터뜨리기보다 한국인의 모습을 닮아가면서 불만을 삭이고 있는 중이다.
◆국적회복 귀화 신청자 300건 넘어 = 가리봉동 일대에 남아있는 중국동포들 상당수는 한국국적을 취득했거나 국적취득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이 때문에 관련 민원처리건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서울 구로구청 민원여권과 이혜경씨는 “중국동포의 국적회복이나 귀화신고 건수가 한 달에 300건이 넘는다”며 “요즘에는 한국인과의 결혼을 통해 한국국적을 취득하는 것도 한달에 130여건에 이를 정도로 늘었다”고 말했다.
특히 일부는 ‘위장결혼’이라는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국적을 취득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조선족’이라는 단어는 이제 공식용어에서 사라졌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차별은 좀처럼 벗어나기 힘든 굴레가 되고 있다. 고성수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구로구 가리봉1동에 있는 가리봉시장 일대는 구로구 ‘옌벤동(연변동)’이라 불릴 만큼 중국동포들이 많다. 10월 말 현재 가리봉동의 전체 인구는 1만5000명 수준이지만 일대에는 1만명에 가까운 중국인과 중국동포(조선족)들이 살고 있다. 하지만 지난 12일 오후 기자가 찾아을 때는 예상외로 한산했다. 3월까지만 해도 거주 동포가 3만명에 이르렀지만 지난 3월 22일부터 실시된 ‘중국동포 자진귀국 프로그램’으로 불법이거나 체류기간이 만료된 사람들이 빠져나간 뒤 아직 재입국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무실 유리창에는 ‘월세 놓는다’는 광고물이 빼곡히 붙어있는 가리봉시장 인근 충청부동산의 정명섭(50)씨는 “보증금 100만원에 월세 10만원하는 쪽방들이 부지기수로 비어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불만을 삭히는 중 = 90년을 전후해 시작된 중국동포들의 대규모 입국 이후 정부는 ‘재외동포법’ 개정과 ‘중국동포 자진귀국 프로그램’, ‘단기 취업 교육’ 등을 통해 이들을 우리 사회에 통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연변 조선족’ 대신 ‘중국동포’라는 단어가 공식용어가 될 정도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는 제도 말고도 중국동포들이 뛰어넘기 힘든 벽이 존재한다.
가리봉시장 입구에서 만난 임 모(여·48)씨는 입국 8년째인 중국동포이다. 임씨는 한참 동안 대화를 나누면서 중국동포라는 느낌을 전혀 받을 수 없을 만큼 완벽하게 ‘서울사람’이 돼 있었다.
임씨는 입국 하던 해 한국국적을 회복했고 지금의 남편을 만나 새 삶을 살고 있다. ‘조선족’에 대한 ‘색다른 시선’을 느낄 때 마다 말투를 뜯어 고치고 생각도 서울 사람처럼 해야 한다고 다짐했다.
그는 “주위 동료들에게도 ‘적극적으로 노력해 한국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임씨는 “한국국적을 취득한 사람을 포함해서 중국동포 대부분이 차별을 경험했고 80% 이상이 한국인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동포를 차별하는 것에 대해 불만으로 터뜨리기보다 한국인의 모습을 닮아가면서 불만을 삭이고 있는 중이다.
◆국적회복 귀화 신청자 300건 넘어 = 가리봉동 일대에 남아있는 중국동포들 상당수는 한국국적을 취득했거나 국적취득 절차를 밟고 있는 중이다.
이 때문에 관련 민원처리건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서울 구로구청 민원여권과 이혜경씨는 “중국동포의 국적회복이나 귀화신고 건수가 한 달에 300건이 넘는다”며 “요즘에는 한국인과의 결혼을 통해 한국국적을 취득하는 것도 한달에 130여건에 이를 정도로 늘었다”고 말했다.
특히 일부는 ‘위장결혼’이라는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국적을 취득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 ‘조선족’이라는 단어는 이제 공식용어에서 사라졌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차별은 좀처럼 벗어나기 힘든 굴레가 되고 있다. 고성수 기자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