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노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는 ‘재활용품 분류’다.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박공주 연구원 등이 전국 110개 농촌마을 만 60세 이상 노인 8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녀 모두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일자리로 이 직종을 꼽았다.
박 연구원 등은 최근 발표한 ‘농촌노인의 경제활동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서 노동부가 선정한 ‘고령자 적합직종’을 기준으로 농촌 노인에게 맞는 일자리를 다시 분류했다.
남성노인은 재활용품 분류원에 이어 공원 관리원, 묘지 관리원, 상표 부착원 등의 직종에서 일하기 원했다. 하천 감시원, 매표·검표원, 환경 감시원, 주차장 관리원, 상수원 보호원, 잔디밭 관리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여성노인이 선호하는 직종은 재활용품 분류원, 상표 부착원, 일반 포장원, 매표·검표원, 잔디밭 관리원, 식물 재배원, 공원 관리원, 환경 감시원, 안내·수위 순이었다.
마을 단위로 설치된 공동작업장에 적합한 직종으로는 농산물 재배(29.5%)를 꼽았다. 소규모 가공공장 운영(19.2%)이 뒤를 이었고 다음으로는 전통음식 판매(7%) 공예품 제작 판매(6.4%) 재활용품 수집판매(6%)가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박공주 연구원은 “노인들은 본인들의 경험을 살리는 동시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일자리를 원하지만 수요가 없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농촌 노인들이 갖고 있는 노하우와 기술에 적합한 사회적 일자리”를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진천군 등에서 도입한 노인도우미도 그 중 하나. 노인에게 맞는 농업기술 등을 개발할 실버농업관리사나 도시인들에게 농촌을 알릴 수 있는 농촌체험활동사나 전통놀이지도사 등도 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지자체 특성 맞게 일자리 대책 세워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빠른 고령화 추세에 대비하기 위해 지자체가 적극 나서 노인일자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위해 노인에 대한 관점을 기존의 ‘복지 대상’에서 ‘생산 주체’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국대 행정학과 강창현 교수는 “각 지자체가 노인들의 지역사회참여활동 부문을 개발·확대해야 한다”며 “교통봉사, 방범순찰, 청소년선도, 예절교육, 한문교육 등 기존 부문 외에도 농촌은 농촌대로, 어촌은 어촌대로, 도시는 도시대로 지자체 특성에 맞는 공익형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중소규모 공장이 많은 곳은 오염물질배출업소 감시업무, 소비도시의 경우 유해식품판매감시 업무, 아파트가 많은 곳은 쓰레기무단투기 감시 업무 등에 노인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육아 경험이 풍부한 노인여성에게 육아 또는 보육업무를 맡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광주전남발전연구원 김재철 연구원은 지자체 노인일자리 늘리기의 1차 목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지자체가 지역노인의 교육정도와 직업경력을 적은 자료를 구축해 놓으면 지역기업의 구인활동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이나 영세사업체는 숙련된 일꾼을 찾을 때 아는 사람에게 부탁하거나 물어물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자체가 상세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면 구인작업이 훨씬 쉽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주5일제 확산에 맞춰 노인들을 주말 일자리에 채용하는 일본의 ‘노인휴일근무제도’가 관심을 끌고 있다. 자동차 판금을 만드는 일본 가토제작소의 경우 전직원 83명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자가 28명(34%)이고 이 가운데 18명은 ‘노인휴일근무제도’에 따라 채용됐다. 이 회사는 공장을 1년 365일 가동해 주문량을 100% 소화할 수 있게 됐고 매출이 급신장했다.
우리도 관공서나 서비스 관련 사기업, 대규모 제조업의 경우 주7일 문을 열어야 하는 업종이 많다. 주말에 투입하는 대체 인력 가운데 일부를 노인에게 할당하는 것은 고령자의 경력을 살리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고려할만하다는 지적이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박공주 연구원 등이 전국 110개 농촌마을 만 60세 이상 노인 88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녀 모두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일자리로 이 직종을 꼽았다.
박 연구원 등은 최근 발표한 ‘농촌노인의 경제활동 향상 프로그램 개발’에서 노동부가 선정한 ‘고령자 적합직종’을 기준으로 농촌 노인에게 맞는 일자리를 다시 분류했다.
남성노인은 재활용품 분류원에 이어 공원 관리원, 묘지 관리원, 상표 부착원 등의 직종에서 일하기 원했다. 하천 감시원, 매표·검표원, 환경 감시원, 주차장 관리원, 상수원 보호원, 잔디밭 관리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여성노인이 선호하는 직종은 재활용품 분류원, 상표 부착원, 일반 포장원, 매표·검표원, 잔디밭 관리원, 식물 재배원, 공원 관리원, 환경 감시원, 안내·수위 순이었다.
마을 단위로 설치된 공동작업장에 적합한 직종으로는 농산물 재배(29.5%)를 꼽았다. 소규모 가공공장 운영(19.2%)이 뒤를 이었고 다음으로는 전통음식 판매(7%) 공예품 제작 판매(6.4%) 재활용품 수집판매(6%)가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박공주 연구원은 “노인들은 본인들의 경험을 살리는 동시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일자리를 원하지만 수요가 없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농촌 노인들이 갖고 있는 노하우와 기술에 적합한 사회적 일자리”를 현실적 대안으로 제시했다.
진천군 등에서 도입한 노인도우미도 그 중 하나. 노인에게 맞는 농업기술 등을 개발할 실버농업관리사나 도시인들에게 농촌을 알릴 수 있는 농촌체험활동사나 전통놀이지도사 등도 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지자체 특성 맞게 일자리 대책 세워야”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빠른 고령화 추세에 대비하기 위해 지자체가 적극 나서 노인일자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위해 노인에 대한 관점을 기존의 ‘복지 대상’에서 ‘생산 주체’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국대 행정학과 강창현 교수는 “각 지자체가 노인들의 지역사회참여활동 부문을 개발·확대해야 한다”며 “교통봉사, 방범순찰, 청소년선도, 예절교육, 한문교육 등 기존 부문 외에도 농촌은 농촌대로, 어촌은 어촌대로, 도시는 도시대로 지자체 특성에 맞는 공익형 일자리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중소규모 공장이 많은 곳은 오염물질배출업소 감시업무, 소비도시의 경우 유해식품판매감시 업무, 아파트가 많은 곳은 쓰레기무단투기 감시 업무 등에 노인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한 육아 경험이 풍부한 노인여성에게 육아 또는 보육업무를 맡길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광주전남발전연구원 김재철 연구원은 지자체 노인일자리 늘리기의 1차 목표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라고 진단했다. 김 연구원은 “지자체가 지역노인의 교육정도와 직업경력을 적은 자료를 구축해 놓으면 지역기업의 구인활동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이나 영세사업체는 숙련된 일꾼을 찾을 때 아는 사람에게 부탁하거나 물어물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자체가 상세한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면 구인작업이 훨씬 쉽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주5일제 확산에 맞춰 노인들을 주말 일자리에 채용하는 일본의 ‘노인휴일근무제도’가 관심을 끌고 있다. 자동차 판금을 만드는 일본 가토제작소의 경우 전직원 83명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자가 28명(34%)이고 이 가운데 18명은 ‘노인휴일근무제도’에 따라 채용됐다. 이 회사는 공장을 1년 365일 가동해 주문량을 100% 소화할 수 있게 됐고 매출이 급신장했다.
우리도 관공서나 서비스 관련 사기업, 대규모 제조업의 경우 주7일 문을 열어야 하는 업종이 많다. 주말에 투입하는 대체 인력 가운데 일부를 노인에게 할당하는 것은 고령자의 경력을 살리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고려할만하다는 지적이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